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이산가족 신청자 중 생존자 비중 38%에 불과”

기사승인 2020.07.31  09:07:42

공유
default_news_ad1

- 경실련, 정치적 고려 배제하고 조속히 이산가족 상봉 추진해야

연 평균 3370명 가량 사망자 발생…현 추세로 15년 이후에는 이산가족 상봉 불가능

경실련은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중 생존자 비중은 38%에 불과하다”고 밝히고 “정치적 고려를 배제하고 조속히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해야 하며, 특히 연 평균 3,370명 가량의 사망자가 발생하여 현 추세로 15년 이후에는 이산가족 상봉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 (사진=경실련)

경실련 통일협회가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과 e-나라지표의 남북 이산가족 상봉 추이를 바탕으로 이산가족 실태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기간은 이산가족 현황은 2004년~현재, 이산가족상봉 현황은 2000년~현재로 한정했다.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중 사망자가 매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생존자가 38%에 불과하다. 이 중 80세 이상 초고령자 비율은 65.3%에 이른다. 연 평균 3,695명 가량 사망인이 발생하고 있으며, 현 추세로 계산했을 때 약 13.8년 이후 생존인이 없어 이산가족 상봉이 불가능할 수 있다.

지난 2018년 금강산에서 열린 21차 이산가족 상봉 이후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그 인원도 신청자 대비 매우 낮다. 현재까지 연평균 786명이 상봉을 진행했으며, 생존인 모두 상봉하기 위해서는 65년이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 (사진=경실련)

경실련은 “5만여명에 이르는 생존인을 위한 대규모 이산가족 상봉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하며, 가족 간에 수시로 얼굴을 마주할 수 있는 수시 상봉 체계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시 상봉 방안으로는 화상 상봉을 재개해 수시로 상봉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다만 2005년 대한적십자사가 구축한 화상상봉시스템이 현재 제대로 된 가동이 어려운 상황인 점을 감안해 조속한 시설 정비와 북한의 화상시스템도 정비 및 교체가 필요하다.

화상상봉시스템이 제대로 구축할 경우 대규모 인원의 수시 상봉을 가능하게 해 대면 상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 (자료=경실련)

경실련은 “대면 상봉은 분기별 최소 1회 이상으로 정례화해 안정적으로 상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상봉 장소도 반드시 금강산으로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하고 “상봉자 다수가 고령자로 거동이 불편할 수 있어 적정한 의료시스템을 갖추고, 대규모 상봉이 가능한 곳을 추가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이산가족 상봉은 가끔 열리는 정치적 이벤트가 아니라 인도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매우 시급하게 이뤄져야할 민족 차원의 과업이다. 70년이 넘게 쌓여온 남북의 이산가족들의 아픔과 슬픔을 헤아려야 한다”고 강조하고 “남북 정부는 정치적인 고려를 모두 배제하고, 지금 당장 이산가족 상봉 재개를 위한 대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양병철 기자 bcyang2002@hanmail.net

<저작권자 © 시민사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2

관련기사

default_news_ad3
default_setImage2

최신기사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